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스크랩] 관념어와 상투어

아동문학창작강의실

by 백연심 2006. 11. 16. 15:13

본문

관념어와 상투어  

 

詩란, 적어도 어린이를 대상으로 한 童詩에서는 그 이미지와 의미에 참신한 미적
감동을 부여해야 합니다. 미적 감동이 있는 작품만이 진정한 아동문학으로 평가받
을 수 있으며 어린이 가슴에 명료하게 닿을 수 있습니다.
그럼 어린이 가슴에 명료하게 닿을 수 있는 작품이 되기 위해서는 무엇을 우선적
으로 고려해야 할까요? 바로 이 단원의 제목인 '관념어와 상투어'를 가려내고 철저
히 배제시키는 일에 다름 아닙니다.
그럼 낱말을 풀이해 보겠습니다.

관념어 ; 구체적이고 실제적인 시적 대상을 접했으면서도 그것을 동시로 표현할 땐 오히려 개략적
이고 포괄적이고 추상적으로 표현하는 행위, 또는 그런 사람이 사용하는 詩語.

상투어 ; 남들이 하도 많이 사용을 해서 이제는 시적 언어로써의 순결성을 상실한, 이른바 非 處
女的 詩語.

사전에서의 풀이가 아닙니다. 우선, 다음의 동시를 살펴보며 관념어와 상투어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달이 밝아서

연잎 위에
청개구리

"퐁당"

달 따러 가네.

――――― 박용열, 『달밤』

살살 튕겨 보라고
볼에 비벼 보라고
품에 넣어 보라고

아하!

도시 아이들의 메마른 가슴에

홍시가




.
――――― 김문기, 『홍시』

위 동시들에서는 관념어나 상투어를 지적할 수 있을까요? 굳이 의문점을 찾아본
다면,

⊙ 『달밤』에서 '달이 밝아서'가 상투어인가?
⊙ 『홍시』에서 '메마른 가슴'이 관념어일까?

그러나 이들 詩語는 시적 흐름의 개연성에 바탕을 둔, 더 이상 구체어나 참신한
시어를 찾아낼 필요가 없는 것들입니다. 말하자면, '달이 밝아서'가 정답이지 '달이
무척 밝아서' '달이 거울 같아서'라는 식의 구체어를 찾아낼 필요도 없고 더 이상의
수식이나 기교가 필요치 않은 것입니다. 그리고 '메마른 가슴' 역시 1연에서의 묘사
가 지극히 구체적이고 무리 없이 읽히고 있기에 관념어라는 지적을 피할 수 있는
상황입니다.
반면, 다음의 습작품을 보겠습니다.

작은 것이 아름답다.
채송화 마음이
화단 맨 끝에 옹글송글

――――― 직자 미상, 『채송화』

겨울 동안 움추렸던
언어들이
하나 둘 피어난다.

봄의 문턱에서
삼백 예순 다섯 날
두 손 모아

――――― 직자 미상, 『목련』

위 습작품에서 우리는 '채송화 마음'과 '언어들'이 관념어의 전형을 보여주고 있음
에 주목해야 합니다. 개략적이고 포괄적이고 추상적인 詩語들인 것입니다. 그로 인
해 실제적으로 어떤 이미지나 의미를 보여주려는지, 애매 모호해졌습니다.

⊙ 채송화 마음 …………?
⊙ 언어들 …………?

시적 대상에 대한 어떤 특별한 인식이 작자의 머리 속에서만 맴돌고 있지, 그것을
실제적이고도 효과적으로, 더 나아가 미적 차원으로 전달해 주려는 노력이 보이지
않습니다.
그리고 위 두 습작품에서 '작은 것이 아름답다.'와 '봄의 문턱에서' 등은 상투어에
속합니다. 지금까지 어디서 익히 접해본, 남들이 너무 자주 사용해온 詩語들 아닙니
까?

⊙ 작은 것이 아름답습니다. ………… (어느 시에서?)
⊙ 봄의 문턱에서 ………… (어느 유행가에서?)

좋은 동시를 창작하려는 노력을 게을리 하고 즉흥적 감상만을 쉽게 기술하려다
보니 남들이 이미 숱하게 써먹은 구절이나 차용했다는 것이고 이는 지극히 바람직
하지 못한 태도입니다.

엄마의 사랑은 하나님 같아.
아기를 재우고도
마음이 졸여
젖병을 들고서 지켜보지요.

――――― 습작품, 『엄마의 사랑』

위 습작품에서 '엄마의 사랑'과 '하나님'은 관념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종교 문제
를 떠나, 시적 표현으로써 너무 추상적이고 너무 큰 사상성을 띠고 있질 않습니까?
말하자면, 관념어로 인해 너무나 많은 해석이 가능하고 그만큼 詩想이 혼란스럽다
는 뜻입니다.

가을이 왔다.
낙엽 하나


떨어져
거리를 쏘다니고 있다.

――――― 습작품, 『가을날』

위 습작품에서 '가을이 왔다.'와 '낙엽 하나 둘 셋 /떨어져'는 상투어의 범주에 속
합니다. 너무 흔한 표현으로써 이미 동시의 시어로 사용할 가치가 퇴색된 낱말들입
니다.

그럼 이제부터는 관념어와 상투어를 가려내고 배제시키는 노력을 해보겠습니다.
상당한 노력을 요하는 일입니다. 그리고 시적 대상에 대한 면밀한 관찰과 그 관찰
에서 얻어진 이미지나 의미에 좀 더 참신하고 적절한 시어를 부여해 주는 일입니
다.

햇살은 연못을 사랑합니다.

그 사랑으로 피어난 연꽃 한 솔이
이윽고
보답이라도 하듯
하늘을 향해 활짝 웃고 있습니다.

――――― 습작품, 『연못을 보며』 중에서

위 습작품에서는 '사랑'이 관념어입니다. 포괄적이고 추상적인 개념으로써, 그것
(사랑)이 어떤 것인지 명료하게 와 닿지 않습니다. 그러기에 관념어를 눈에 보이듯
선명한 상황으로 고쳐주어야 합니다.

햇살이 연못에 내려앉아
반짝반짝 노래합니다.

이윽고
연꽃 한 송이
하늘을 향해 고맙다며
반짝반짝 노래합니다.

――――― 고쳐 쓴 작품, 『연못을 보며』

이렇게 고쳐보았습니다. '사랑'이라는 관념을 '연못에 내려앉아 반짝반짝 노래하는'
회화적 이미지로 바꿔놓은 것입니다. 그 때문에 연못의 풍경이 선명하게 보이질 않
습니까?

자동차들이
시커먼 연기를 내뿜으며
무섭게 내달리는 큰길 가
보도블럭 사이를
헤집어
노랗게 꽃 피우는
내 옛날의 민들레야.

――――― 습작품, 『민들레』

도시의 거리에도, 숱한 사람들이 바쁘게 오고가는 그 발 아래에도, 민들레 꽃씨가
떨어져 곱게 꽃 피울 때가 있습니다. 얼마나 반갑겠습니까? 그러나 적어도 문학적
양식으로 그 반가움을 담아낼 때엔 엄격한 창작 논리가 뒷받침되어야 합니다. 우선
적으로 상투어를 배제해야 합니다. 사실 자동차들은,

⊙ 시커먼 연기를 내뿜으며
⊙ 무섭게 내달리는

그 일반적이고 보편적 이미지를 갖고 있는데, 그러나 위 습작품에선 그것을 그대
로 묘사해 버리는 미숙함을 드러냈습니다. 적어도 동시에서는 그 일반적이고 보편
적인 이미지를 그냥 그대로 구사해서는 안 됩니다. 남들이 다 알고 있는 묘사 아닌
가요? 시시할 뿐입니다. 그러기에 자기 나름의 참신하고 독창적 시어를 구사해야
좋은 동시로 평가받을 수 있는 것입니다.
그럼 위 습작품에서 그 상투어를 배제해 보겠습니다.

자동차들이 숱하게 지나가도
다시 와 너를 짓밟아도

오, 너의 보금자리.

민들레 씨앗 떨어져
다시 보는, 노란 꽃등
내 어린 날을 밝혀주는구나.

――――― 고쳐 쓴 작품, 『민들레』

이렇게 상투어를 배제하고 좀 더 가다듬으니 한결 산뜻하게 느껴질 것입니다. 원
작품과 고쳐 쓴 작품의 차이가 '커다란 차이'라고 한다면, 그것은 곧 문학작품에서
상투어의 폐해가 얼마나 심각한가를 역설적으로 증명하는 셈입니다.

지금까지 관념어와 상투어의 실체에 대해 살펴보았거니와 계속 수련을 쌓아 그것
을 극복해 나가기 바랍니다.

 


                   

 

출처:http://www.haword.com/김문기 아동문학 창작 강의

 

출처 : 시의 향기로 여는 마당
글쓴이 : 연심 원글보기
메모 :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