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원경(桃源境) / 박성우
뻘에 다녀온 며느리가 밥상을 내온다
아무리 부채질을 해도 가시지 않던 더위
막 끓여낸 조갯국 냄새가 시원하게 식혀낸다
툇마루로 나앉은 노인이 숟가락을 든다
남은 밥과 숭늉을 국그릇에 담은 노인이
주춤주춤 마루를 내려선다 그 그릇을 들고
신발의 반도 안 되는 보폭으로 걸음을 뗀다
화단에 닿은 노인이 손자에게 밥을 먹이듯
밥 한 숟가락 떠서 나무들에게 먹인다
느릿느릿 빨간 함지쪽으로 향하던 노인이
파란 바가지 찰랑이게 물을 떠다가
식사 끝난 나무들에게 기울여준다
손으로 땅의 등을 가볍게 토닥여주는 노인
부축하고 온 지팡이가 다시 앞장을 선다
어슬렁어슬렁 기어온
고양이 한 마리가 나무 밑둥으로 스며든다
툇마루로 돌아와 앉은 노인이 예끼, 웃는다
-시집 '가뜬한 잠'(창비)중에서
[해설]
도원경이라면, 동진 때 시인 도연명의 '도화원기'에서 유래한
동양적 이상향이 아닌가. 삶이 팍팍할수록 무릉도원을 꿈꾸지
않은 이가 누가 있을 것인가. 시제에 가슴이 부풀어 연마다 행
마다 뒤져 보았지만 흐드러진 복사꽃은 고사하고 낙화 한 잎 보
이지 않는다. 외려 '뻘'과 '더위'와 '주춤주춤'과 '신발의 반도
안되는 보폭'만 도드라질 뿐이다. 그런데도 속은 느낌은커녕
'참으로 도원일세!' 고개가 끄덕여지는 것은 무슨 까닭인가?
복사꽃 핀다고 다 무릉이 아니듯, 도원이 지리부도에 나오지 않
는 뜻 새삼 알겠네 -시인 반칠환
*동아일보.2007년 4월 20일
출처 : 시의 향기로 여는 마당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