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골 버스 바쁠 게 없다 / 남호섭
우리 동네 버스 기사 아저씨는
혼자 노래하다가 신나면
우리한테도 시킨다.
날마다 같은 동네를 다녀서
시집간 누나 이야기도 묻고
바쁘게 뛰어오지 말고
일찌감치 나오라고 야단도 친다.
한 시간에 한 대
아니면 두 시간에 한 대,
할머니들은 삼십 분을 기다려서
십 분을 타고 간다.
하루는 몰던 차 세워 두고
동네에서 물 좋기로 이름난
명훈이네 물 받으러 간 기사 아저씨 들으라고
차에 타고 있던 할머니들
"차비 깎아야 한다!" 소리 치셨다
-시집 "놀아요 선생님(창비)중에서
[해설]
글쎄, '삼십 분 기다려서 십 분' 타고 가는 할머니들
차 속에 두고, 근무 시간에 물 뜨러 갔으니 할 말이
없긴 하겠다. 하지만 할머니들 무거운 함지박과 보퉁
이 번쩍 끌어주고, 정류장 없는 외딴집 앞에도 세워
주고, 돈 백 원 모자라도 외상으로 태워 준 것도 저
기사일 터이니, 애당초 저들은 셈이 안되는 관계렸
다. '옛소, 할머니들도 찬물 한 대접씩 드시오' 넉
살 좋게 웃으며, 다시 부릉부릉 시골 버스를 몰고
떠났을 테지.
도시의 탈것이 이곳에서 저곳에 도달하기까지 '유예
된 시간이라면, 저 시골 버스는 이곳에서 저곳까지
'누리는 시간'을 보여 준다(삶은 '건너는 것'이 아
니라 '누리는 것'이다). 시계가 없이도 바쁠 것 없
던, 처음의 시간은 어디로 갔는가.-시인 반칠환
-동아일보.2007년 1월 19일-
출처 : 시의 향기로 여는 마당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