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사도세자의 고백

문학 자료방

by 백연심 2006. 11. 18. 11:38

본문

ㅎㅎ

조선의 영조대왕에 의하여.. 뒤주에서 갖혀 죽은 사도세자.
우리는 그렇게만 알 고 있지만, 그 뒷편에 있는 역사는 잘 알지 못합니다.

정신이상의 증세를 보이자 뒤주에 갇혀 죽었다는 역사의 사실에 비하여
권력의 헤게모니를 위하여 죽음을 당했다는 것이 책에서 말 하고 있는 사실 입니다.
그 논리와 이야기를 역사적 사실과 함께 흥미진진하게 풀어 내고 있습니다.

혜경궁홍씨의 한중록의 존재가 섬뜩해 지는 것 부터. 책은 출발하네요.
흥미진진하게 읽어 볼 수 있는, 단순한 재미 뿐 만 아니라
현실의 메커니즘은. 현상과 그 이면의 숨겨진 논리에 의한 역학구조 라는 것을
일깨워 주고 있습니다.


좋은 책을 소개 해 주신 강북모임짱 김문경님께 감사의 말씀을 드립니다^^
강북모임분들도 읽으신 소감 많이 올려 주세요~^^


* 책 소개글 -- 강북 모임짱님 김문경님께서 올리신 글 입니다^^

정신 이상자가 되어 기행을 일삼다가, 아버지 영조에 의해 뒤주에 갇혀 죽었다는 사도세자. 그러나 사도세자는 미치지 않았으며, 당대의 집권 여당이던 노론이 소론 지지자이던 사도세자의 즉위를 두려워해 그에게 '반란음모죄' 를 뒤집어 씌워 제거했다는 것이 이 책의 주장이다.

저자는 이러한 주장을 사료와 고증에 의해 하나하나 증명해 나가는데, 어려운 학술서적의 문체가 아니라 마치 르포 기사를 쓰듯이 생동감 있게 기술해 나가고 있다. 간혹 논리의 비약이 아닌가 싶은 대목이 눈에 띄어 저자의 '추측' 에 의문을 품어보지만, 글 전체의 구성이 탄탄해 결국 저자의 논리에 빨려들어가고 만다.

이 책은 피와 음모로 점철된 조선 왕조사의 어두운 측면을 여과없이 보여준다. 오늘의 당파는 말과 돈으로 싸울지언정 칼로 싸우지는 않지만, 당시의 당파싸움은 승패에 따라 자신의 목숨은 물론 일가 식솔들의 목숨까지 왔다갔다 하는 진검 승부였다.

노론의 지지를 업고 등극한 영조는 당파의 폐해를 없애기 위해 소론을 포용하는 탕평책을 쓰지만, 탕평책의 수혜자라 할 소론의 강경파들이 영조의 정통성을 부인하는 `대자보 사건`을 일으킴으로써 소론 온건파들마저 한 목에 목숨을 잃거나 귀양을 가고 노론의 세상이 온다.

소론에 동정적이었던 세자는 노론의 '소론 사냥'에 반대했고 노론의 눈 밖에 났다. 노론은 세자를 압박했고 세자는 노론에 대항하기 위해 더욱 더 소론과 가까워졌다. 결국 세자 제거의 총대를 멘 것은 당대의 노론 핵심이었던 세자의 장인과 처외삼촌이었다.

사도세자가 죽은 후 세자비였던 혜경궁 홍씨마저 아버지를 변명하고 남편을 정신병자로 기술한 <한중록>을 남겼다. 정치적 반대파인 사위나 남편이 왕이 되는 것보다는 미리 제거하여 후환을 없애고, 그러한 사실을 꼭꼭 덮어두는 것이 가문의 백년대계를 위함이라는 비정한 결단이 있었던 것일까. 독자의 입장에선 섣불리 예단할 일이 아니겠으나, 저자의 시각은 바로 그러하다.

저자 이덕일은 역사서를 대중적으로 쓰는 데 발군의 역량을 보이는 몇 안 되는 작가 중의 한 사람이다. 대중적 역사서를 쓰는 다른 작가들이 대부분 비전공자 출신인데 비해, 이덕일은 전문 역사학도 출신으로서 필력을 발휘한다는 점에서 거의 독보적이다. - 조유식(1999-04-22)

소개글

사도세자가 '정신병자'라는 기존의 통념을 깨며 북벌을 꿈꾸었던 무인군주 사도세자의 진정한 모습과, 그가 뒤주에 갇혀 죽게 된 진짜 이유를 추리소설적 기법으로 복원해낸 새로운 형식의 역사서.

저자소개

이덕일 (작가프로필 보기) - 61년 충남 아산출생으로 숭실대학교 사학과 및 동대학원을 졸업하고「동북항일군 연구」로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강단이라는 공간적 한계를 넘어서서 역사학의 연구 성과를 대중과 함께 나누고자 하는 글쓰기 작업을 해왔다. 2004년 현재 한가람역사문화연구소 소장으로 있다.

지은책으로 <우리 역사의 수수께끼 1, 2>, <송시열과 그들의 나라>, <아나키스트 이회영과 젊은 그들>, <거칠 것이 없어라: 김종서 평전>, <당쟁으로 보는 조선 역사>, <사도세자의 고백>, <누가 왕을 죽였는가>, <유물로 보는 한국역사> <운부 1, 2, 3> 등이 있다.




싸이 클럽 책이랑...책으로 만나는 사람과 사람들... 에서 펌

 

 

 

 

관련글 더보기